전세계 소비자의 21%, 개인정보 유출 기업 이용 안한다
데이터 보안 기업 탈레스에서 발표한 ‘소비자의 개인정보보호 신뢰도에 대한 조사’결과 전세계 소비자의 21%는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겪은 기업은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출사고를 겪은 소비자들 10명 중 1명은 기업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했으며, 조직의 데이터 보안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답하였습니다.
전세계 소비자의 21%, 개인정보 유출 기업 이용 안한다, 보안뉴스, 2022-12-06
2023년 사이버 보안위협 키워드는? 랜섬웨어, PhaaS, IIoT, 모바일, 가상자산
SK쉴더스에서 발표한 내년 주요 보안 위협으로는 다변화된 랜섬웨어, 서비스형 피싱공격, 가상자산 타깃 공격 등이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2022년 국내 보안침해사고는 제조업 및 공공분야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주요 위협요소로는 랜섬웨어를 지목하였습니다. 내년에도 랜섬웨어는 변조된 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2023년 사이버 보안위협 키워드는? 랜섬웨어, PhaaS, IIoT, 모바일, 가상자산, 보안뉴스, 2022-12-06
금융위, 개인사업자정보 개방해 데이터 산업 활성화
금융위원회는 산하 금융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중 개인사업자 정보를 개방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보주체를 알 수 없도록 비식별화하여 제공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사업자에 대한 신용평가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데이터 3법 시행에 따라 비식별화 정보를 정보주체 동의 없이 활용 가능하게 되었으며, 개인사업자에 대한 시장의 데이터 개방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사업자 정보 개방이 추진되었습니다.
금융위, 개인사업자정보 개방해 데이터 산업 활성화, 데이터넷, 2022-12-09
12월 3주차 보안 알리미 (0) | 2022.12.23 |
---|---|
12월 2주차 보안 알리미 (0) | 2022.12.16 |
11월 4주차 보안 알리미 (0) | 2022.11.25 |
11월 3주차 보안 알리미 (0) | 2022.11.18 |
11월 2주차 보안 알리미 (0) | 2022.11.11 |